견비통(오십견)이란? | |||
---|---|---|---|
견비통은 목디스크처럼 어깨 이외의 잘못 때문에 나타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어깨 자체의 문제중 만성질환인 견관절주위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견관절주위염'이라고 하면 선뜻 머리에 떠오르지 않으나 '사십견' 또는 '오십견'이라고 하면 낮설지 않다. 이 명칭은 4∼50대에 잘 나타나는 병이라서 이와 같은 별명이 붙었으며, 서양에서는 병의 증상과 특징을 보고 마치 어깨가 얼어붙은 것 같다고 해서 'Frozen Shoulder'라고 한다. 명칭에서 보다시피 이 병은 중년층에서 잘 나타나고 가벼운 외상 경력이 있거나 뚜렷한 원인이 없이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증상은 대개 4단계 과정을 거치며 2년내에 치료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4단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1단계는 통증이 증가하는 시기, 제2단계는 통증이 감소하면서 경직이 나타나는 시기, 제3단계는 통증이 소실되면서 경직이 남는 시기, 제4단계는 경직이 풀어지면서 정상회복되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각 단계별로 보통 4∼8개월이 소요되며 전체적으로는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약 1∼2년이 소요된다. 즉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아도 약 2년 정도면 봄눈 녹듯이 녹아 내려 대부분 정상회복이 된다. 그러나 이 기간이 너무나 길고 고통스럽기 때문에 치료의 초점은 가능한한 빠른 시일내의 회복과 통증의 감소에 맞춘다. 이러한 견비통의 한의학적인 원인은 간신부족(肝腎不足), 기혈허약(氣血虛弱), 불통칙통(不通則痛) 등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간과 신은 서양의학에서 말하는 간장이라던가 콩팥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한방에서 말하는 간의 기능과 관련하여 "肝은 筋을 生한다", "肝의 合은 筋이다", "肝은 疲勞에 견디는 本이다", "肝이 왕성하면 筋도 충실하다" 라고 하는 말들은 지난 2천년을 두고 변치않는 한의학의 기본원리이다. 그리고 肝과 마찬가지로 腎과 관련된 기본원리에는 "腎은 骨을 주관하고 骨髓를 生한다" 라는 말이 있다. 물론 그밖에도 精, 成長, 聽覺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약, 침, 뜸, 물리치료로 견비통을 치료할 수 있다 한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견비통의 치료수단에는 천연약물과 침뜸, 그리고 물리치료가 있다. 한약을 사용할 때는 간과 신의 기능이 젊고 건강한 사람처럼 활동하도록 하면서 기와 혈을 보충해주고 순환이 잘 되도록 하는 처방으로 환자의 체질을 감안해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침으로 경락의 소통이 잘 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관리와 운동방법의 원칙은 어깨를 따뜻하게 해주고 어깨를 가능한한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 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남의 힘을 빌려 무리하게 움직이면 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조심할 필요가 있다. 정석희·한방재활의학과교수 |
|||
작성일 | 2024-06-10 | 조회수 | 505 |